조상연의 "그림에 썰을 그리다"

제36화 툭 떨어진 능소화에 빼앗긴 마음

편집팀 | 기사입력 2023/08/07 [09:17]

조상연의 "그림에 썰을 그리다"

제36화 툭 떨어진 능소화에 빼앗긴 마음

편집팀 | 입력 : 2023/08/07 [09:17]

툭 떨어진 능소화에 빼앗긴 마음

ㅡ 사이

 

▲ 툭 떨어진 능소화에 빼앗긴 마음/ 그림 일목 백영란     ©

  

백영란 선생의 <툭 떨어진 능소화에 빼앗긴 마음>의 그림이다. 나는 이 그림의 소제목을 <사이>라고 지었다. 툭 떨어진 능소화를 바라보는 까마귀의 시선, 능소화와 까마귀 사이의 뭐냐? ……, 시선, 마음, 관심, 아무 생각 없이 자꾸만 눈길이 가는,

 

정현종 시인의 <>이라는 시가 있다.

 

 

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.

그 섬에 가고 싶다.

 

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에서 사이라는 말에 시선이 갔다. 정현종 시인의 시에는 유독 사이라는 말이 많이 등장한다. 시인이 생각하는 사이는 뭘까? 사람과 사람 사이, 사람과 섬 사이. 너와 나 사이의 중간이 아닌 바로 그사이. 내가 생각하는 사이는 물리적인 공간이 아니라 관계다. 툭 떨어진 능소화에 빼앗긴 까마귀의 마음 역시 관계다.

 

사이와 시선, 그 사이의 마음은 내가 백영란 선생의 그림을 바라보는 시선, 바로 그 마음으로 인해 백영란 선생과 나 사이를 가로막고 있는 섬들이 사라지고 있다. 섬들이 사라진다는 것은 안과 외부의 사이를 가로막고 있는 커튼이 걷어진다는 말과 같다.

 

까마귀와 툭 떨어진 능소화 사이

그리고 까마귀의 시선을 통해 전해지는

그 마음

 

우리는 그 사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. 왜냐하면, 이것과 저것의 사이에는 시기와 질투도 존재하기 때문이다. 그 사이가 좁혀질수록 상처도 많이 받는다. 남보다 가족에게 상처를 많이 받는 까닭이다. 스쳐 지나가는 인연이라면 상처받을 이유가 없다. 내가 일목 백영란 선생의 그림에 시선을 주고 마음을 빼앗겼지만, 항상 조심스러운 이유다.

  

▲     ©

  • 도배방지 이미지

삶이 있는 문학 많이 본 기사